연금개혁, 특히 전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국민연금과 관련해 취재하다 보면 세대별 반응은 극명히 갈린다. 청년층에서는 “기금이 고갈돼 받지도 못할 것”이라는 불신과 “이득은 기성세대가 독차지하고 부담만 큰데 없애고 말자”는 극단적 반발도 적지 않다. 노년층은 또 그들대로 “쥐꼬리 만한 연금만으로 노후 생활은 불가능하다”며 고개를 젓는다.
세대별 불만을 듣다 보면 기성세대와 미래세대의 연대라는 사회보험의 존재 이유가 무색할 정도다. 1988년 도입 이후 30여 년이 흐르며 국민연금은 되레 갈등과 반목의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 그 시간 동안 지속 가능성을 위해 보험료율을 높이자는 주장과 세계 최고 수준인 노인 빈곤율을 낮추기 위해 명목소득대체율(은퇴 전 소득을 연금이 대체하는 비율)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첨예하게 격돌해 왔다. 정치권도 재정 안정과 노후 소득 강화를 놓고 갈라져 사회적 갈등은 증폭됐고, 그간 정부는 반발이 큰 ‘표 떨어지는’ 연금개혁을 사실상 외면했다.
NPS 칼럼
글. 한국일보 김창훈 기자